반응형
- 방법 1 : 프로젝트 세팅부터 DLL로 선택해서 빌드하기
- Visual Studio 2019에서 새 프로젝트를 생성
- "Win32 Console Application" 프로젝트 템플릿을 선택
- "Application Settings" 단계에서 "DLL"을 선택
- 프로젝트 속성에서 "C/C++" > "Code Generation" > "Runtime Library"를 "Multi-threaded DLL (/MD)"로 설정
- 프로젝트에 필요한 함수를 작성
- "Build" > "Build Solution"을 선택하여 프로젝트를 빌드
- 빌드 결과인 dll 파일은 프로젝트 폴더의 "Debug" 또는 "Release" 폴더에 생성되는 것 확인
- 방법 2 : 이미 개발한 프로젝트를 DLL로 선택해서 빌드하기
- 프로젝트 속성 -> 일반 -> 구성 형식 -> 동적 라이브러리(.dll)로 변경
- 프로젝트 속성 -> 고급 -> 대상 파일 확장명 -> .dll로 변경
- 프로젝트에 필요한 함수를 작성
- "Build" > "Build Solution"을 선택하여 프로젝트를 빌드
- 빌드 결과인 dll 파일은 프로젝트 폴더의 "Debug" 또는 "Release" 폴더에 생성되는 것 확인
728x90
SMALL
반응형
'개발 > C++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. c# string을 c++ DLL로 전달하는 방법 (0) | 2023.02.01 |
---|---|
2. C++ DLL을 C#에서 이용하기 (0) | 2023.01.31 |
C++ 람다 함수 정리 (1) | 2023.01.25 |
C++20 신규 기능 정리 (0) | 2023.01.25 |
Boost Geometry 자주 사용하는 함수 정리 1편 (0) | 2022.11.02 |
반응형
- 방법 1 : 프로젝트 세팅부터 DLL로 선택해서 빌드하기
- Visual Studio 2019에서 새 프로젝트를 생성
- "Win32 Console Application" 프로젝트 템플릿을 선택
- "Application Settings" 단계에서 "DLL"을 선택
- 프로젝트 속성에서 "C/C++" > "Code Generation" > "Runtime Library"를 "Multi-threaded DLL (/MD)"로 설정
- 프로젝트에 필요한 함수를 작성
- "Build" > "Build Solution"을 선택하여 프로젝트를 빌드
- 빌드 결과인 dll 파일은 프로젝트 폴더의 "Debug" 또는 "Release" 폴더에 생성되는 것 확인
- 방법 2 : 이미 개발한 프로젝트를 DLL로 선택해서 빌드하기
- 프로젝트 속성 -> 일반 -> 구성 형식 -> 동적 라이브러리(.dll)로 변경
- 프로젝트 속성 -> 고급 -> 대상 파일 확장명 -> .dll로 변경
- 프로젝트에 필요한 함수를 작성
- "Build" > "Build Solution"을 선택하여 프로젝트를 빌드
- 빌드 결과인 dll 파일은 프로젝트 폴더의 "Debug" 또는 "Release" 폴더에 생성되는 것 확인
728x90
SMALL
반응형
'개발 > C++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. c# string을 c++ DLL로 전달하는 방법 (0) | 2023.02.01 |
---|---|
2. C++ DLL을 C#에서 이용하기 (0) | 2023.01.31 |
C++ 람다 함수 정리 (1) | 2023.01.25 |
C++20 신규 기능 정리 (0) | 2023.01.25 |
Boost Geometry 자주 사용하는 함수 정리 1편 (0) | 2022.11.02 |